환율과 외인 매도
( 매일경제 2018. 10. 10. )
신흥국 위기 급속 확산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628492
신흥국 자금 이탈로 인한 위기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의 양적 완화가 끝나고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환율이 신경이 쓰인다.
외국인 매도가 지속되고 있는 것도 모양세가 좋지 못하다.
오늘 KOSPI는 25포인트, KOSDAK은 19포인트 하락했다.
그나마 WON화 환율이 급등하지 않은 건 다행으로 보인다.
북미 정상 회담이 연기되어서 유독스럽게 한국 증시만 많이 빠졌나?
남북 경협 관련주에 낀 거품이라면 빠질 수도 있겠으나 좀 과하다는 생각이 든다.
오히려 환율 인상과 외국인 지속적인 매도에 시장이 두려워 하고 있는 거 같다.
미국 금리 인상과 미국 국채 가격 하락의 영향은?
은행 등 금융주가 견조하게 버티고 FAANG을 위시한 기술주 들이 많이 하락했다.
경기 호전에 따라 금리가 오르고 금리 스프레드가 확대되는 거라면 좋은 현상으로 볼 수도 있는데 나쁜 측면만 강조 되고 있다.
관세 폭탄 이후의 금융 전쟁 작전이 소리없이 진행 되고 있는 건 아닐까?
중국과 一帶一路 project 관련 협조 체제를 구축한 나라들이 상대적으로 더 힘들어 진 거 같다.
이란이나 터키 파키스탄 등 상당히 다급한 상황에 처한 국가들이 해당 되는 거 같다.
중국의 지준율 인하 및 위안화 평가 절하도 주변 국가 들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다.
환율 및 외인 투자 자금의 동향 파악에 긴장을 늦추지 말아야 하겠다.
'글로벌 트렌드 추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속성 거래 제한 대상 ?? (0) | 2018.11.14 |
---|---|
풋옵션(280) 21350% 대박 2018.10.11. (1) | 2018.10.11 |
브라질 (0) | 2018.10.10 |
글로벌 회색 코뿔소 (0) | 2018.09.06 |
브라질 펀드 (1) | 2018.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