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포트폴리오/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 9JAN2020

시저포스 2019. 1. 5. 16:41

* 1월6일 하락시 매수, 7일 상승시 대량 매도, 8일 이란사태로 폭락시 미수까지 발생시키며 매수, 오늘 일부 매도.

  ( 보유 종목을 매도 매수 반복하여 수익이 많이 늘었다.   실제 계좌에는 차바이오텍과 베트남ETF 외에는 손실 종목 없음. )

* 씨젠은 사고 팔고 반복, 1월 8일 두번째 매수. 코윈테크도 실제 계좌는 이익구간.

* 코스닥 레버리지도 실제로는 물타기 효과로 이익 내고 매도 ( 포트 정리에는 그냥 손실로 처리 )

* 많이 올라 부담스러우나 반도체 분위기 감안, DB하이텍과 SK하이닉스 편입. ( 삼성전자는 주문 내었으나 체결분 없음 )

* 홍콩에 상장되어 있는 바이오텍ETF 매수. ( 실제로는 한달여 기간 찔끔 찔끔 매수하여 5%이상 수익나고 있음. 추가 매수 예정)

* 홍콩시장의 CLOUD ETF도 편입하여 10% 수익구간이나 포트에 반영은 생략함. 계속 저가 매수 예정.

  ( Global x China Clouding ETF )

* 실제 계좌 운영은 미수 활용과 자금 추가 투입했으나, 여기 포트 정리는 번거러워 다소 자의적으로 편하게 처리함. )

 

* 배당락후 힘빠진 메리츠종금증권 매도.

* ( 1월 효과 )  IT 중소형주 분위기에 편승하기 위해 코위버, 코윈테크 및 KODEX코스닥150레버리지 매수.

* 1월15일 미중 무역 협상 서명 예정 => 서명직전에 매도 여부 고민 예정.

* 쉬엄쉬엄 놀면서 거래 하고 싶어도 요즘 출렁거림이 심해 잦은 매매를 하지 않을 수가 없다.

  KMW나 오이솔루션 같은 종목 발굴해서 좀 길게 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 클리오 매도.

 

 

* 미중 무역 협상 분위기 호전 후 편입한 종목 들 일단 매수가로 반영함.

* 실계좌는 최근 투자금액을 두배로 늘려 편입 종목이 많아짐.

* 배당락 이후는 코스닥 투자 확대 도모 예정.

* 1월중 미중 무역 협상 서명이 있을 때 쯤이 하락 전환 단기 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함.

 

 

* 최근 매도 종목 정리 ( 12월 22일)

 

* 최근 편입 종목 및 오늘 매수 종목 평가 반영함. 



* 피피아이 실적이 좋아 보이지 않아 상장시점까지 기다리지 않고 전량 매도함.

* 최근 편입 종목으로 포트 변경. ( 장중이라 10월22일 오늘 종가 반영치 않고 매입가 또는 이전 가격 그대로 둠 )

 

* 냉냉하던 분위기가 대중국 관세 연기 할 수 있다는 한마디에 완전히 반전되었다.  시진핑은 어떤 반응을 보일라나?

* 인도 ETF 장중 최저가로 매수되었다.

* 피피아이는 실제로는 조금씩 매도하고 나중에 재매수할 예정이나, 여기 포트는 귀찮아서 그대로 둔다.

 

관세 부과 연기 뉴스에 반응한 시장 모습. ^^

 

 

* 국내외 어수선한 분위기에 수익율은 좀 줄었으나 국내 주식 보유가 없어 큰 충격이 없다.

* 인버스 ETF를 계속 보유하지 못한 게 아쉽다.

*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큰 인도 ETF는 조만간 추가 편입 예정이다.

 

* 편입종목 구성이 국내외 변수에 영향을 덜 받는 안정세를 갖춘 모양세다.

 

 

* 피피아이 가격은 장기간에 걸쳐 매수하여 실제 평균 매입가는 더 낮으나 지난 5월초 거래되었던 가격으로 반영함.

 

* 코스닥 인버스 처분하고, 인도ETF 재매수함.

 

* 장외종목 피피아이 편입 ( 상세 내역 추후 기술 예정 )

* 브라질 연금 개혁 부진으로 펀드 평가익 감소.

 

* 멕시코ETF 소량 매수.

* 파라다이스 손절매.  개별 주식 보유는 Zero.

* IT 장외주식 한종목 매수 TRY중.

* 4월8일 가격은 장중 가격이라 종가와 차이날 수 있음

 

* 비에이치 손해 보지 않고 매도.

* KODEX200선물인버스는 손절매.

* 브라질 연금개혁 진통으로 브라질 펀드가 비실비실 비틀거리고 있다.   베네주엘라 꼴이 날건지 좀 두고 보기로.

 

* 한올바이로파마를 매도.   어제만해도 모양세가 좋고 기관 매수세도 탄탄해 보였는데 오늘은 영 어정쩡하다.

* 비에이치도 그렇다. 낮은 가격에 잡은 거라 처분을 망설였다. 내일 오전 운전중에라도 잠깐 시간 내어 매도 해 버릴 예정임.

* 거래가 너무 없긴 한데 멕시코 ETF를 TRY 중이다.   글로벌 요동에도 환율이 안정적이다. ( 291130 ; KINDEX멕시코MSCI )

* 어제 매도한 인버스ETF를 다시 매수했다.   장이 하도 맥이 없어 보여서.   그럴 줄 알았으면 팔지 말고 그냥 둘 걸.

* 선물옵션 계좌에도 자금을 채웠다.   지수 하락에 베팅할 준비를 갖춰 놓기 위해서.

 

* 어제는 거래를 할 수가 없는 사정이 있어 그냥 방치 해 두었다. 

* 브라질펀드에서 이익 절반 이상을 반납했다. ㅜㅜ

* 인버스ETF를 매도하고 비에이치를 저가에서 매수했다.

* 어제와 비슷한 변동성이 가끔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 마이크론 감산 소식에 반도체랑 IT 장비주가 날아 오른다.   단타 좀 해보겠다고 집적거린 놈들은 비실비실.

한올바이오파마 매도 매수를 반복했다.   장중에 열 받아가면서.   대신증권에서도 추천하고 기관매수도 꾸준하고 해서 건드렸다가 연일 코피 터진다. (오늘 기관이 배신했다)    왜 이렇게 사나 ?      테마주는 별로 가까이 하지도 않으면서 뭔 작은 파동에서 먹을 걸 찾아 보겠다고...   펀드나 연금저축계좌는 계속 수익 증가 추세인데 부지런히 챙기는 위탁계좌만 개판이다. ㅜㅜ

하락장 대비하고 인버스까지 편입했으면 일관된 행동을 했어야지.  반성하고 잘못된 습관을 고치자.  

내일은 장 초반에 개별 종목 더 줄이고 정신차리자.

* 글로벌 경기위축 및 한국기업 신용평가 강등에 대비하여 자동차 주식 선물 매도를 해 볼까 고민을 하다가, 윌버 로스 미국 상무장관이 SK이노베이션 조지아 공장 기공식에 참석하여 한국 자동차에 대한 추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 같은 늬앙스를 풍기는 발언을 했다는 뉴스 때문에 Action을 취하지 못하고 고민중이다.

 

* 시장이 많이 출렁거린다.   기관에서 의도적으로 지수를 관리한다는 의구심이 든다.

* 한올바이오파마 움직임이 안정적이라 방심했다가, 시세가 무너질 때 추가 매수를 했다가 본전 회복되어 절반 되팔았다.

* 나노는 어제 처분했다.

* 브라질 펀드는 두배로 늘렸다. 덕분에 수익율이 반토막으로 떨어져 버렸다.

* 베트남 ETF 소량 저가 매수했다.

* 시장 분위기가 안좋아 KODEX코스닥선물인버스 매수.

* 신규 편입 종목의 금액을 맞추기 위해 일부 종목 오늘 시세 반영 안 함.

* 개별 종목을 좀 건드리니 너무 허우적거리게 되고 분위기에 휘둘린다는 느낌이다.   안 그래야 되는데..

 

* 빠른 순환매 적응도 힘들고, 바이오주라고 건드리니 회계 수사 관련 악재가 불거진다.

* 대우조선해양 빠질만큼 빠졌을라나 조금 매수 해 본다.

* 중국 경기 부양책에 대한 시장 반응은 일단 좋으나 그 이후에 대한 확신이 서지 않는다.

 

* 한올바이오파마 및 파라다이스 매수.

* 인도네시아 etf 추가 매수.

* KODEX200선물인버스X2 매수 ( 동향 점검 및 인버스 투자 타이밍 모색 목적 )

 

* 글로벌 경기 불안 우려가 확산되고 시장에 구름이 잔뜩 끼었다.   공교롭게 며칠간 시골 다녀 오는 기간과 겹쳤다.

* SK와 인도ETF 오늘 매도.

* 브라질 펀드 및 인도네시아 ETF는 조정시 추가 매수 계획이다.

* 중국 MSCI 편입에 따라 대형주는 부정적.  중소형주 중 심심풀이로 매수 할 만 한 거 찾아볼까 함.

 

* 2월 28일 하노이 미북 핵협상 결렬.

* 브렉시트, 미중무역협상 등 큰 이슈 계속 진행중.

* 반도체 수출 감소 소식 등 국내 경기 불안 요인 점증.

* 베네주엘라 사태 등의 영향으로 브라질 연금 개혁 성공 가능성은 높아 질 것으로 보임.

* 인도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 다소 소강 상태.

 

* 연금 이동 타이밍이 안 좋아 수익율에 나쁜 영향을 미쳤다. ( 연금저축펀드는 대부분 MMF 편입 상태 )

* 한동안 가족 병원 간병 할 일까지 겹쳐 투자 관리가 소홀했다.

* ETF 조금 늘렸고, 개별 종목 두종목 추가함.

 

* 1월22일, 연금저축펀드 이전 과정에서 연금저축에 편입되어 있던 5g글로벌펀드 및 인도펀드 환매 처리.

* 브라질펀드는 연금저축과 무관한 별도 펀드로 계속 보유.

 

* 오늘(1월10일)도 인도네시아 및 인도 ETF 조금 더 편입. ( 거래가 적어 조금씩 쪼개 거래하니 손이 많이 간다 )

 

* 인도네시아 ETF 시초가에 30주 추가 매수.

 

* 인도네시아ETF, 인도ETF, 차이나H선물인버스 동향 파악을 위해서 일단 몇주씩 매수했다. ( 1월 7일 )

 

 

* 인도네시아 및 인도 투자는 펀드 대신 ETF를 편입할 예정이다.

  ( ETF가 환금성, 수수료 등 여러가지로 편리.  잦은 거래를 안할려고 불편하고 비용 많이 떼는 펀드를 매매 ?  바보였잖아!  )

 

 

2018년도 배당부 마지막 거래일인 12월 26일부터 포트 외 몇 종목 매수했다가 1월 초 3일동안 거의 정리해 버렸다.

 

다음주에 각종 이벤트가 있어서 그 전에는 괜찮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중국 PMI 지수 하락,

미국 애플 실적 쇼크,

그리고 증폭된 알고리즘 매매 효과로 롤러코스터 장세를 연출했다.

사실 그렇게 심각한 것도 아닌 걸로 보이는데.

그러다가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변화가 있을 거라고 미국 현지 시간 1월4일 지수는 폭등을 하면서 끝났다.

중국도 지표가 나쁘다고 내리다가 부양책 나올 수 있다고 언제든지 오를 수 있다는 생각도 든다.

 

뭔 난린지도 모르겠고

함부로 예측하는 건 역시 스트레스만 증폭 시킨다.

 

큰 흐름을 찾아서 虎視牛步 전술을 구사하자.